- 배열이랑 비슷하다
- R은 인덱스가 1로 시작함
- 데이터마다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. names()
> names(s1) <- c("one","two","three")
> s1
one two three
1 2 3
- c() 로 생성
- 데이터 형식이 섞여 있음 하나로 통일시켜줌
- integer < double < character < list 순서로 쌤
- 참조 : 다른 함수 배열과 비슷한데 마이너스(-), : 를 사용할 수 있다. 그거 빼고 라는 뜻
> s1[-2]
one three
1 3
> s1[1:3]
one two three
1 2 3
> s1["one"]
one
1
> s1[c("one","three")]
one three
1 3
- 연산
– setequal() : 두 벡터가 같은지
– setdiff() : 차집합
– intersect() : 교집합
– union() : 합집합
– identical() : 객체가 동일한지
– %데이터% : 있는지. ex) ` 3 %in% c(1,2,3,4,5)`
– 다량 연산이 무쟈게 편하다
- 초기화 (연속 값?)
– seq(a,b,c) : 초항이 a 이고 공차가 c 인 수열 만든다. b 보다 작은거중에
– seq_along() : 들어간 백터 길이만큼 초기화
– rep(a,b) : a를 b 번 반복하는 벡터
> rep(1:3,5)
[1] 1 2 3 1 2 3 1 2 3 1 2 3 1 2 3
> rep(1:3,each=2)
[1] 1 1 2 2 3 3
> rep(1:3,each=2,5)
[1] 1 1 2 2 3 3 1 1 2 2 3 3 1 1 2 2 3 3 1 1 2 2 3 3 1 1 2 2 3 3